공인중개사 1차 1과목 부동산학개론
부동산학 총론
● 부동산학의 이해
1. 부동산학의 정의
① 부동산학이란 부동산활동의 능률화의 원리와 그 응용기술을 개척하는 종합응용과학입니다.
② 부동산학은 부동산의 부동산에 대해서 법적, 경제적, 기술적 측면에서 접근을 시도하는 종합응용 사회과학입니다.
③ 토지와 그 정착물(건물)에 관련된 직업적, 물적, 법적, 금융적 측면을 기술하고 분석한 학문의 한 분야입니다.
2. 부동산학의 학문적인 성격
① 사회과학 ② 실천과학 ③ 응용과학 ④ 경험과학 ⑤ 종합과학 ⑥ 규범과학
3. 부동산학의 제 측면과 복합개념
무형적 측면 | 법률적 측면 | 부동산관련 공법과 사법상의 여러 규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 |
경제적 측면 | 부동산의 가격에 관련된 영향을 미치는 것 | |
유형적 측면 | 기술적 측면 | 부동산의 설계, 시공, 설비, 자재, 측량, 지질, 지형, 토형 등 눈에 보이는 것 |
● 부동산학의 연구대상과 연구분야
1. 부동산학의 연구대상
① 부동산 현상
부동산에 관련된 모든 기술, 경제, 제도 및 기타 제 현상 쉽게 말해 부동산 활동에 관련된 모든 현상을 말합니다.
② 부동산 활동
부동산을 대상으로 인간이 행하는 모든 인간활동
2. 부동산학의 연구분야
실무분야 | 이론분야 | |
부동산 결정분야 | 부동산 결정지원분야 | 부동산학의 기초분야 |
⊙ 부동산 투자 ⊙ 부동산 금융 ⊙ 부동산 개발 ⊙ 부동산정책 및 계획 |
⊙ 부동산 마케팅 ⊙ 부동산 관리 ⊙ 부동산 평가 ⊙ 부동산 컨설팅 ⊙ 부동산 중개 ⊙ 부동산 입지선정 |
⊙ 부동산 특성 ⊙ 부동산 관련법 ⊙ 도시지역 ⊙ 부동산 시장 ⊙ 부동산 세금 ⊙ 부동산 수학 |
● 부동산학의 접근 방법
1. 종합식 접근방법
부동산을 법률적, 경제적, 기술적 등의 복합개념으로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이론을 구축하는 방법입니다. 우리나라의 부동산학을 단기간 정착시키는데 기여했으나 부동산의 가치를 정확하게 인식 및 이해하는데 부족한 부분이 있습니다.
2. 법·제도적 접근방법
부동산에 관한 이론을 체계회함에 있어서 이론적 기초를 법률적, 제도적 측면에서 두는 방법입니다.
3. 의사결정 접근방법
인간은 합리적인 존재이며, 각각의 개인은 자기이윤의 극대화를 위해서 움직인다는 가설로 접근하는 방법입니다.
● 부동산활동의 일반적 원칙
부동산과 인간의 관계개선이라는 부동산학의 이념을 신현하기 위한 부동산활동의 행동 방향 입니다.
1. 능률성의 원직
부동산학은 부동산 소유활동의 능률화를 위해서 최유효이용 원칙(가장 효율이 좋게 주변과 어울리게 하는 원칙)을 부동산 거래활동의 능률화를 위해 거래질서 확립의 원칙을 지도원리로 삼습니다.
2. 안전성의 원칙
복합개념의 논리에 따라서 법률적 안전성, 경제적 안전성, 기술적 안전성을 모두 고려합니다.
*능률성과 안전성은 상호적 관계
- 가격이 좋고 위치 접근성이 좋은 부동산(능률성)을 법적인 측면, 경제적 측면, 기술적 측면(안전성)을 따지다가 놓치는 경우
3. 경제성의 원칙
경제성의 원칙은 부동산활동의 전반에 걸친 합리적 선택의 원칙이 됩니다. [최소비용의 최대효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오늘도 행복하시고 늘 건강하시기바랍니다~!
- 댕냥이 -
'공인중개사 > 1차 부동산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인중개사 1차 1과목 부동산학개론 - 부동산의 개념 (0) | 2022.05.22 |
---|
댓글